본문 바로가기

경제 꿀팁

부동산 취득세율 2023, 부동산 취득세 과세표준

2023년 기준 부동산 취득세율은 주택의 과세표준 구간, 주택 수, 조정지역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입니다. 부동산 취득세 요율표를 기반으로 취득세율을 알아보고, 취득세 과세 대상 금액, 세율, 감면 조건 그리고 취득세 신고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부동산 취득세율 2023
부동산 취득세율 2023

취득세 납부 대상자

취득세는 주택의 취득과 관련된 세금입니다. 주택이란 건축법에 따른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을 말합니다.

 

취득이란 매매와 상속, 증여, 신축, 증축 등을 모두 포함한 개념입니다. 취득세 납부 대상자는 주택을 취득한 자에게 부과 됩니다.

 

주의할 점은 등기를 하지 않더라도 사실상 취득한 경우라면 취득세 납부 대상자가 됩니다.

 

취득세 과세 대상 금액

과세표준이 되는 금액은 취득 당시에 가액입니다.

 

매매를 할 경우 사실상의 취득 가격이 과세 대상 금액이 되며, 증여를 한 경우 시가 인정액, 예를 들면 감정가액, 경매가액 등이 있습니다.

 

신축이나 증축을 한 경우 사실상의 취득 가격이 그 기준입니다.

 

취득세 세율

부동산 취득세 요율표를 보시면 과세표준 6억 원 이하 주택은 취득세 1.0%, 지방교육세 0.1%, 농어촌 특별세 0.2%입니다.

 

6억에서 초과 9억 이하 주택은 취득세가 1.33%에서 3.0%까지 지방교육세 0.1에서 0.3%, 농어촌 특별세는 6억 원 이하와 동일합니다.

 

9억 원 초과 주택은 취득세 3.0%, 지방교육세 0.3%, 농어촌 특별세 동일합니다. 한편 다주택자와 법인은 중과세율이 적용됩니다.

 

조정지역 취득세는 1주택자의 경우 1~3%, 2주택자는 8%, 3주택자 12%, 4주택자와 법인은 12%입니다. 비조정지역의 경우 1~3% 1에서 3% 8%, 12%입니다.

 

지방교육세는 중과분 모두 0.4%입니다. 농어촌특별세는 8% 증가분 0.6%, 12% 증가분 1%입니다.

 

취득세 감면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가 감면됩니다. 25년 12월 31일까지이며 최대 200만 원 한도로 취득세가 감면됩니다.

 

취득세 신고 방법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 주택 소재지 관할 시군구청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단, 상속이나 증여의 경우 취득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각각 6개월, 3개월 이내에 필요합니다.

 

서류는 매매 계약서, 부동산 거래 계약 신고 필증, 분양받은 경우라면 분양 계약서 잔금 납부 영수증이 필요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https://water-fire.tistory.com/50

 

2040 서울 도시기본계획 [서울 부동산 요약 리뷰] ,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pdf

서울 도시기본계획은 법률에 의거한 서울시 도시 계획 수립의 법정 최상위 계획입니다. 매 10년마다 발간되어오고 있으며,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는 7대 공간목표를 설정해 밝히고 있습니다.

infomationhous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