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전 재테크 이야기

주식 공정가치 상대가치 평가법, 절대가치 평가법, 활용

주식의 공정가치 평가 방법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공정가치란 주식의 매수자와 매도자가 거래 종목에 대해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고, 주식을 이용해서 최대한의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상황에서 성립될 수 있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활성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희가 거래하는 삼성전자 주식은 활발히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시장이 효율적이라고 할 때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이 해당 주식의 공정한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될 수 있는 것입니다. 공정가치 평가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상대가치 평가법과 절대가치 평가법이 있습니다.

 

상대가치 평가법

상대가치 평가법은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거래 대상 종목과 유사한 종목의 가격을 거래 대상 종목의 공정가치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들어보았을 법한 per, pbr, bsr, ev, 앱이 있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재무제표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해당 재무비율을 이용해서 공정가치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삼성전자와 유사한 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LG전자 또는 대우전자 등이 유사 기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per로 평가한다고 하였을 때, 해당 유사 기업들의 per을 먼저 계산한 후에 계산된 per을 삼성전자의 roe에 곱하는 형태로 삼성전자의 공정가치를 평가합니다. 유사 기업의 선정 기준은 총 4가지의 기준을 따르는데, 산업 유사성, 업종 유사성, 규모 유사성, 재무 유사성을 따져서 유사 기업을 선정하게 됩니다. 상대가치 평가법의 장점으로는 시시각각 변하는 가격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이 되겠고, 또한 유사한 기업은 유사한 가격을 가져야 된다는 점에서 상식에 잘 이해가 된다는 점이 있겠습니다. 단점으로는 시장 변동성이 그대로 공정가치에 반영되기 때문에 공정가치가 공정가치의 변동성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겠습니다. 또한 시장에서 평가된 가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시장, 시장이 효율적이라는 가정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절대가치 평가법

절대가치 평가법은 내재가치평가법이라고도 하며, 배당 할인 모형, 현금 할인 모형, 님이라고 불리는 모형 등이 있습니다. 공정가치 산출의 형태는 해당 주식으로부터 기대되는 미래 현금 흐름을 적절한 할인율로 현재 시점의 가치를 나타내도록 할인을 하는 형태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현금 흐름 절대가치 평가법의 장점은 앞으로 발생할 현금 흐름 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실제 주주의 이익이 얼마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므로 합리적이라 할 수 있지만, 단점으로는 미래의 현금 흐름을 추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으므로 해당 추정치에 대한 정확성이 공정가치 평가의 정확성을 결정한다는 점이 단점이 될 수 있겠습니다.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가 많이 없거나 과거 해당 기업의 실적이 변동성이 컸을 경우에는 공정가치 평가 결과가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공정가치 평가의 활용

공정가치 평가 법을 통해 산출한 공정가치 평 가격은 현재 주가의 고평가와 저평가를 판단하는 벤치마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주가가 9만 원인 상황에서 공정가치 평가 가격이 5만 원으로 산출되었다면 현재 해당 주식은 고평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투자를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의 가격이 5만 원이고 공정가치 평가 가격이 9만 원이라면 해당 주식은 현재 저평가되는 것이므로 투자를 실행할 수도 있겠습니다. 각 공정가치 평가법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에 대해 명확히 인식한 상태에서 올바른 평가법을 적용하여 고평가 및 저평가를 인식하고 투자를 실행할 수 있겠습니다. 결론 투자 실행에 있어 가치 투자의 철학은 고평가 된 종목에 대해서 투자하지 않고 저평가된 종목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공정가치 평가는 시장의 움직임에 대해, 다시 공정가치 평가는 해당 주식의 공정가치를 평가해서 고평가 및 저평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시장의 잡음으로부터 해당 주식의 실제 가치가 얼마인지를 판가름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