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의 입장에서는 사업의 수익에 대해서 성과를 배분받을 수 있기 때문에, 흔히 배당 정책이 주주에게 친화적인 경우, 주주 친화적인 기업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배당의 종류와 배당과 주가
배당의 종류에는 현금 배당과 특별 배당이 있습니다. 현금 배당은 정기적으로 얼마만큼의 현금을 배당하겠다고 사내 정책적으로 규정한 상태에서 배당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배당률 계산은 현재 주가에 대해서 배당 이 가지는 비율로 계산을 하고, 벌어들인 순익에 대비해서 얼마만큼의 배당을 지급하는지는 배당 성향이라고 부릅니다. 특별 배당이라는 것은 해당 연도에 사업 성과가 특별히 좋았거나, 또는 특별 특정 사업 부서의 매각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생할지 않는 일시적인 수익이 생겼을 때 지급하는 배당액입니다. 배당과 주가의 관계 배당과 주가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첫 번째 : 배당의 긍정적인 영향
주식 보유의 목적 중 하나는 차익 실현입니다. 시세차익을 노리고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세차익이라는 것은 미래의 시세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나오는 배당 애기, 미래 시세차액 변동성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투자자의 위험을 낮춰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 주주 친화적인 배당 정책을 가진 기업의 주가는 높아질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두 번째 : 배당정책의 부정적인 영향
배당 정책은 기업 생애, 주기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 기업 설립 초기에 있는 성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재투자에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사업처가 많기 때문에, 배당을 하기보다는 기업 내에서 재투자를 통해서 사업을 확장하는 선택을 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에 반해서, 이미 성숙하여서 비즈니스 모델이 더 이상의 수익을 창출할 수 없는 기업의 경우에는, 기업에 대해서 친화적인 배당 정책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배당 정책을 가진다는 것은, 기업이 더 이상 높은 투자 수익률을 얻을 수 없다는 신호가 되어서, 주가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세 번째 : 배당정책의 주가 무영향
주가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내용입니다.한 명의 투자자가 있다고 하였을 때, 예상보다 높은 배당을 받게 되면은, 주주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평가하는 것보다 주가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은 주주의 입장에서는 그 현금을 다시 주식을 매수하는 데 사용하여서 주가를 올릴 것이고, 또는 예상보다 배당액이 적게 나왔다고 생각하는 주주의 입장에서는 가지고 있는 주식을 현금화하여서 주가를 내릴 것이기 때문에, 주주의 입장에서 포트폴리오 관리가 중요하고, 주식 가치 평가가 중요한 것이지, 배당 정책 자체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설이 존재하는 만큼, 또한 역사적으로 각자의 설이 맞아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던 만큼, 어는 이론이 맞다고 단정하여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배당이, 배당 정책이, 시장의 하나의 신호로서 작용을 하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배당을 하지 않던 기업이 배당을 하는 경우, 기업 실적이 좋아지고 있구나라는 신호를 던질 수가 있고, 배당을 하던 기업이 더 많은 배당을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배당을 하던 기업이 배당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또는 배당을 하던 기업이 배당액을 줄일 경우에는, 배당을 할 만한 기업 사정이 되지 못한다는 신호를 보내서 주가를 하락시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전 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개요, 소비자 가격, 금융시장 영향, 정책시장 영향 (0) | 2023.11.04 |
---|---|
자사주 매입 정의, 매입 선호, 현금 배당 관계 (0) | 2023.11.03 |
주식 공정가치 상대가치 평가법, 절대가치 평가법, 활용 (0) | 2023.10.30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부과 소요 (소득, 재산, 자동차), 공제, 체계 기준 (0) | 2023.10.24 |
채권 수익률,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5% 배경, 경제상황 (0) | 2023.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