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전 재테크 이야기

인도 투자 특징, 국내 상장 인도 ETF, 미국 상장 ETF 알아보기

오늘은 여러 신흥국 투자 중 인도 투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도는 여러 성장 요인을 갖춘 나라입니다. 전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입니다. 인도의 인구는 약 14억 2800만으로 중국 인구를 제치고 전 세계 인구 1위 국가가 되었습니다. 인도는 중위 연령이 30세인 젊은 국가입니다. 또한 인도는 영국을 제치고 GDP 세계 5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인도 투자 특징

인도는 IT 강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2년에 인도에서 신생된 유니콘 기업의 수는 24개로 중국 11개, 영국 11개의 2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2023년도 인도의 유니콘 기업은 무려 68개입니다. 참고로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 가치가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기업을 말합니다. 이렇듯 인도는 미래가 유망한 투자 국가입니다. 인도의 투자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인도 증권거래소는 BSE, NSE 2 곳입니다. BSE 대표 지수는 센섹스이며 NSE의 대표 지수는 Nifty 50입니다. Nifty 50은 인도 증권거래소 NSE에 상장된 종목 중 유동비율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위에 해당하는 기업들을 편입한 지수입니다.

 

국내 상장 인도 ETF

인도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한국 상장 인도 ETF, 미국 상장 인도 ETF에 투자하는 방법 그리고 미국 상장 인도 개별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국 상장 인도 ETF 종류는 세 가지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인도 Nifty 50, 미래에셋 자산운용의 TIGER 인도 Nifty 50, 키움 투자자산운용의 KOSEF 인도 Nifty 50이 있습니다. 모두 인도의 Nifty 5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고 있습니다. 해당 ETF들은 환헤지(H)가 불가능하고 환율 움직임에 노출되는 상품입니다. 세 상품중 KOSEF가 2014년 가장 먼저 상장하였고 시가총액은 1,800억 원입니다. KODEX 인도 Nifty  50은 올해 4월 21일 상장하였고 시가총액은 1,000억입니다. 거래량은 KODEX가 가장 많고 TIGER, KOSEF순입니다.

 

미국 상장 인도 ETF

미국 상장 ETF를 알아보겠습니다. 블랙록 운용사의 INDA, INDY 그리고 위즈덤 트리의 EPI가 있습니다. 추종 지수는 각각 MSCI india 지수, Nifty 50 지수, 위즈덤트리 india earnings index입니다. inda는 운용 수수료가 0.84, indy는 운용 수수료가 0.89%로 꽤 높은 편입니다. 한편 국내외에 상장된 인도 ETF는 대부분 환 노출 상품입니다. 즉 원루피 환율과 달러루피 환율의 영향을 받으며 루피에도 투자를 하게 되는 개념입니다. 미국 상장 인도 개별 주식은 HDFC 뱅크, ICIC 뱅크, 인포시스, 위프로가 있습니다. 이 중 HDFC 뱅크는 인도 최대의 민간 은행입니다. 이렇게 인도의 투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도는 여러 신흥국 중 성장 가치와 투자 가치를 높게 평가받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본인에게 적합한 투자 상품을 선택하셔서 투자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https://infomationhouse.com/3 

 

미국 ETF 투자 하는 방법, 미국 ETF 순위, 미국 ETF 종류

요즘은 그 어느 때보다 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시대입니다. 서점에 가면 주식, 부동산, 부업 등 재테크 관련 서적이 베스트셀러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fomationhouse.com